안녕하세요. 처음 주식 공부를 하면 정말 알아야 할 것이 많습니다. 모든 것이 새롭게 느껴지고 머릿속에 잘 들어오지도 않습니다. 오늘은 주식에 입문한 초보 투자자들을 위한 주식 투자에 있어서 알아야 할 기본적인 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거래량
거래량을 알기 전, 우선 주식시장에는 '세력'이라는 강력한 매수주체가 있습니다. 세력이라 하면 기관, 외국인, 슈퍼개미, 작전세력등이 있습니다. 강력한 매수주체가 들어오면 주가가 상승 탄력을 받으며, 강력한 매수주체가 빠져나가면 주가는 하락하게 됩니다. 이렇듯 강력한 매수주체의 움직임을 알면 투자가 쉬워지는데, 이러한 움직임은 거래량에서 쉽게 포착할 수 있습니다. 급등주의 경우 매수주체가 빠질 때까지 같이 버티면 되는 것이고, 급락주의 경우 매수주체가 유입하면 동참하면 되는 것입니다.
급등주와 급락주의 거래량은 큰 의미가 있습니다. 급등주의 매도 적기는 거래량이 기존 대비 폭발적으로 증가한 날입니다. 거래량 폭발이라면 미련 없이 오전에 매도해 버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 이유는, 특별한 호재 없이 거래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세력들이 빠져나가고 있는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급락한 주식에 있어서 폭발적인 거래량 증가는 세력들의 저점 매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급락한 주식에는 이유가 있으므로 상장폐지, 실적악화와 같은 악재는 없는지 매수 전 뉴스와 공시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2. 캔들
캔들은 양초와 비슷한 모양으로 '봉'이라고도 합니다. 양봉은 붉은색 캔들로 시가보다 종가가 더 높은 경우입니다. 음봉은 파란색 캔들로 시가보다 종가가 더 낮은 경우입니다. 3일 연속 주가 상승의 경우를 '적삼병'이라고 하며, 3일 연속 주가 하락의 경우를 '흑삼병'이라고 합니다. 시가가 고가인 경우보다 종가가 고가인 경우가 더 좋습니다.
또한 망치형 캔들과 역망치형 캔들이 있는데, 하락 추세 중에 망치형과 역망치형 양봉은 상승 추세 전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상승 전환이라면 망치형 양봉이 역망치형 향봉보다 추세 전환 신호가 강합니다.
3. 이동평균선
이동평균선을 줄여서 '이평선'이라고도 합니다. 이동평균선은 일별 주가를 평균한 선으로, 5일, 20일, 60일, 120일 간격으로 있습니다. 이평선은 차트에서 캔들 옆과 위 아리로 길에 늘어진 선들입니다. 이들은 각 숫자마다 다른 색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각 선을 구별하기 위함입니다. 급등주나 급락주에 있어서 이동평균선 간 간격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호재가 있는 저평가 주라도 심하게 벌어진 이동평균선 간 간격을 좁힌 다음에 추가로 상승합니다. 이는 급등주가 한 박자씩 쉬면서 계단식 상승하는 이유입니다. 이 구간을 '눌림목'이라고 하는데, 이는 매수 포인트입니다.
4. 지지선과 저항선
지지선은 하락에 버틴다는 의미, 저항선은 오름에 저항하는 주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3번이나 안 내려가면 매수 지지선이 생기며, 3번이나 못 올라가면 매도 저항선이 생깁니다. 지지선은 호재이며, 저항선은 악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5. 횡보구간
횡보는 매수와 매도 간 힘의 균형점입니다. 지루한 싸움이라고 느낄 수 있으나, 세력 매수가 끝나면 반등하게 됩니다. '고생 끝에 낙이 온다.'라는 말이 있듯이 횡보를 지루해하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오늘은 주식 투자 기본 용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입문 단계인만큼 포기하고 싶은 생각이 많이 들 수 있지만, 포기하지 말고 꾸준히 공부하셔서 꼭 원하는 성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투자 호재 뉴스 키워드 - 최대주주 상속증여, 신규 지수편입, 자사주 매입 (0) | 2023.03.06 |
---|---|
주린이라면 주목해야 할 호재 뉴스 키워드 저PER, 저PBR, 판매가격 상승 (0) | 2023.03.06 |
최고민수 박민수 주식 매매 10가지 원칙 (1) | 2023.03.05 |
주식 투자 종목 고르는 비법 샌드타이거샤크 종목선정 10단계 (1) | 2023.03.05 |
박민수 '주식 공부 5일 완성' 목차 줄거리 및 후기 (0) | 2023.03.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