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주린이라면 주목해야 할 호재 뉴스 키워드 저PER, 저PBR, 판매가격 상승

by 파이졔 2023. 3. 6.

지난 글에서는 종목 선정 시 고려해야 할 호재 뉴스 키워드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글에 이어, 주린이들이 주목해야 할 호재 뉴스 키워드인 저 PBR, 저 PER, 판매 가격 상승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저 PER

우리는 기억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목표가를 낮춘 증권사 리포트는 매도 신호입니다. 증권사 리포트에 실적 기대치나 목표가 하향 조증 등의 키워드가 있으면, 우리는 그 의미가 매도임을 눈치채야 합니다. 증권사 목표가는 6개월 또는 1년간 목표 희망가입니다. 증권사도 신이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그 목표가에 도달한다고 확신을 가져서는 안 됩니다. 중요한 것은 오로지 자신만의 판단입니다. 증권사 목표가와 자신의 판단을 비교하여, 자신의 판단이 더 옳다면 소신껏 투자하면 됩니다. 증권사 리포트가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들이 심혈을 기울여 만든 리포트는 투자 판단의 나침반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증권사 리포트에서 주목해야 할 주요 키워드는 '실적개선, 매출 증가, 당기순이익 증가'입니다. 특히 당기순이익이 중요한 키워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향후 당기순이익만 찾으면 미래 PER을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저 PBR

PBR이 낮은 회사는 하락장에서 잘 버티는 매력이 있습니다. 청산가치를 판단하는 기준인 PBR은 시가총액을 회사의 자기 자본과 비교합니다. PBR이 1배 이하면 저평가 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업은 하락장에서 잘 버팁니다. 일부 저 PBR 회사의 경우에는 자신들이 보유한 땅을 저평가된 상태로 평가를 해둔 경우가 있습니다. 현재도 PBR이 낮은데, 자산 재평가를 한다면 회계 장부상 순자산이 늘어 훨씬 저 PBR이 됩니다. 이러한 회사를 발견하게 된다면 , 우리는 관심 있게 살펴봐야 합니다. 네이버 등의 포털사이트에서 자산 재평가, 저 PBR로 뉴스 검색을 해보도록 합니다. 그러면 자산 재평가가 필요한 땅 부자 회사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자산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말하는 증권사 리포트나 추천 종목들도 주목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3. 판매가격 상승

회사가 판매하는 제품의 가격을 인상하면, 기존의 판매량을 유지한다는 전제 하에 회사의 수익성은 좋아집니다. 예컨대 CGV는 어벤저스 신작 개봉에 맞춰 영화 관람가를 1,000원 인상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대중들은 평소와 같이 영화를 보러 갔습니다. 수익이 늘면 당연히 미래 PER이 낮아지므로, 호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제품 가격 인상에 무관심하였다면, 이제부터라도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뉴스에 가격 인상과 관련된 기사가 나오면 지금부터 유심히 봐둘 것을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 초보자들이 주목해야 할 호재뉴스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모두 평소에 뉴스를 보는 습관을 생활화하여, 종목 분석에 필요한 정보들을 수집하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