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17 주식 관리종목 지정, 상장폐지 기준 내가 산 주식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상장폐지가 된다는 것은 정말 슬픈 일일 것입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 직면하지 않기 위해서 종목 분석을 철저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목해야 할 악재뉴스인 관리종목 지정, 상장폐지의 의미와 그 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관리종목 지정 관리종목을 군대로 비유하자면, 관심병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관심 병사는 사고를 일으킬만한 소지가 많기에 모든 이들의 관심을 받는 병사입니다. 관리종목은 사실상 상장폐지 직전의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거래소가 상장폐지가 우려되는 종목으로 관리하겠다는데 그 기업이 좋을 리가 없습니다. 실제로 관리종목에서 상장폐지로 넘어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관리종목 지정은 주가에 악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상장폐.. 2023. 3. 7. 배당락, 권리락이란? 주식 배당 받으려면 언제 매수해야할까? 안녕하세요. 주식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배당주'에 대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배당주의 기본인 배당락, 배당부, 권리락, 권리부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주식 배당을 받기 위한 적절한 매수타이밍에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배당부/ 배당락이란? 배당을 받을 권리가 있는 날을 배당부라고 하며, 배당을 받을 권리가 없는 날을 배당락이라고 합니다. 2. 권리부/ 권리락이란? 증자 권리를 받을 수 있는 날을 권리 부라고 하며, 권리가 없는 날을 권리락이라고 합니다. 3. 배당, 권리를 받으려면 언제 주식을 매수해야 할까? 배당이나 증자는 기준일 2 영업일 전까지 매수해야 권리가 인정됩니다. 왜냐하면, 한국 주식시장은 매매일 2 영업일 이후 결제가 되기 때문입니다. 가령 .. 2023. 3. 7. 주식 투자 호재 뉴스 키워드 - 최대주주 상속증여, 신규 지수편입, 자사주 매입 우리는 뉴스와 공시를 통해 호재와 악재를 분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뉴스가 호재인지 모르면 이러한 과정이 무용지물이 되는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종목 선정 시 주목해야 할 주식 투자 호재 뉴스 키워드로 최대주주 상속(증여), 매수세 유입 신호인 신규 지수편입, 저가 매수 기회인 자사주 매입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1. 최대주주 상속증여 최대주주 사망에 따른 상속과, 증여를 받는 자는 상속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상속자는 현금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국세청은 세금을 5년에 걸쳐 내는 연부연납을 허용하기 때문에, 현금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증여대상은 세금을 주식담보대출 또는 고배당으로 해결하려고 합니다. 상장 주식에 대한 상속세는 발생시점을 기준으로 앞 2개월, 뒤 2개월 .. 2023. 3. 6. 주린이라면 주목해야 할 호재 뉴스 키워드 저PER, 저PBR, 판매가격 상승 지난 글에서는 종목 선정 시 고려해야 할 호재 뉴스 키워드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글에 이어, 주린이들이 주목해야 할 호재 뉴스 키워드인 저 PBR, 저 PER, 판매 가격 상승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저 PER 우리는 기억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목표가를 낮춘 증권사 리포트는 매도 신호입니다. 증권사 리포트에 실적 기대치나 목표가 하향 조증 등의 키워드가 있으면, 우리는 그 의미가 매도임을 눈치채야 합니다. 증권사 목표가는 6개월 또는 1년간 목표 희망가입니다. 증권사도 신이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그 목표가에 도달한다고 확신을 가져서는 안 됩니다. 중요한 것은 오로지 자신만의 판단입니다. 증권사 목표가와 자신의 판단을 비교하여, 자신의 판단이 더 옳다면 소.. 2023. 3. 6.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