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이자 혜택 총정리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능할까?

by 파이졔 2023. 3. 9.

안녕하세요. 지난 정권에서 실시한 '청년희망적금'과 달리 이번 정부에서는 올해 6월 '청년도약계좌'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5년 동안 70만 원씩 저축 시 총 5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과 이자,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윤정부가 대선 공약에서 청년층으로 하여금 자산 형성의 기회를 만들어주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을 강력하게 약속한 금융상품입니다. 이는 월 70만 원을 5년 동안 납입하면 최대 만기금액 5000원의 목돈을 만들어 주는 사업입니다. 가입자가 매달 최대 7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월 2만 4천 원을 지원해 주는 사업입니다. 여기서 정부의 기여금은 개인과 가구의 수득 수준에 따라 차등적으로 결정됩니다. 소득이 높을 경우에는 납입금의 3%에 해당하는 기여금을 지원하며, 소득이 낮을 경우 6%에 해당하는 기여금을 지원합니다. 금리의 수준은 아직 정해진 바가 없으며, 취급기관이 확정된 이후 해당 금융사가 홈페이지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가입 후 첫 3년은 고정금리가 적용되며, 3년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이 사업은 만기각 최종 5년으로 긴 만큼 부득이한 사유로 해지하게 될 시에 가입자가 얻는 불이익이 없도록 하였습니다. 가입자가 사망하거나 해외이주할 경우, 천재지변이 일어난 경우, 질병 및 장기치료를 받는 경우 등의 사유에 해당할 시 중도해지 할 경우에도 정부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으며, 비과세 혜택도 유지된다고 합니다. 

 

가입조건 및 이자혜택

가입조건은 개인 소득이 6000만 원 이하인 동시에 가구 소득이 중위 180% 이하인 19세~34세 청년입니다. 보건복지부의 2022년 중위소득 기준 고시에 따르면, 2인 가구의 경우 월 소득 586만 8천 원 이하가 대상입니다. 병역 이행 대상자의 경우 나이 계산 시 최대 6년의 병역을 이행하는 기간만큼 차감하여 줍니다. 이자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시중 은행의 금리에 더하여 소득 및 납입금액에 따라 3~6%의 정부 지원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최대 납입 시 원금 4200만 원과 이자 800만 원을 포함하여 총 5000만 원을 받게 됩니다.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 가능할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 불가능합니다. 현재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기 위해서 기존의 가입건을 해지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청년희망적금은 납입기간이 2년이며, 청년도약계좌는 5년입니다. 

 

이렇게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 및 이자, 청년희망적금과의 중복 가입 가능 여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기간, 현재 경제상황등을 고려하여 각자 조건에 부합하는 저축방식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댓글